실현손익 & 미실현손익
실현손익(Realized Profit and Loss, RPNL)은 포지션 종료 후 발생하는 실제 손익이며, 트레이더의 포지션 평균종료가격과 포지션 평균진입가격을 기반으로 계산합니다.
미실현손익(Unrealized Profit and Loss, UPNL)은 트레이더가 포지션을 종료하지 않은 손익, 즉 포지션의 현재 손익의 총합입니다. 미실현손익은 시장가(시장평균가 및 최종체결가)와 포지션 평균진입가격을 기반으로 계산합니다.
미실현손익은 아래 그림과 같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포지션 내역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, 아래 처럼 미실현손익 옆에 M→L의 아이콘이 보인다면, 시장평균가 기반 미실현손익이며, 반대로 L→M의 아이콘이 보인다면, 최종체결가 기반 미실현손익입니다. 트레이더는 해당 아이콘을 클릭하여 보기를 원하는 종류의 미실현손익을 기본값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.
실현손익 공식 - 롱포지션
$$\small \textsf{실현손익} = ({{\textsf{1} \over \textsf{평균 진입가격}} - {\textsf{1} \over \textsf{평균 종료가격}}}) \times \textsf{계약수량}$$
<예시>
데이비드는 10,000 계약을 BTC 가격이 5,000 USDT인 시점에 롱 포지션에 진입했고, 10,000 계약 전체를 BTC 가격이 10,000 USDT일 때 종료하였습니다.
\begin{align} \scriptsize \textsf{실현손익} = ({{\textsf{1} \over \textsf{5,000}} - {\textsf{1} \over \textsf{10,000}}}) \times \textsf{10,000} = \small\textsf{1 BTC}\end{align}
실현손익 공식 - 숏 포지션
$$\small \textsf{실현손익} = ({{\textsf{1} \over \textsf{평균 종료가격}} - {\textsf{1} \over \textsf{평균 진입가격}}}) \times \textsf{계약수량} $$
<예시>
데이비드는 10,000 계약을 BTC 가격이 5,000 USDT인 시점에 숏 포지션에 진입했고 10,000 계약 전체를 BTC 가격이 4,000 USDT일 때 종료하였습니다.
\begin{align} \scriptsize \textsf{실현손익} = ({{\textsf{1} \over \textsf{4,000}} - {\textsf{1} \over \textsf{5,000}}}) \times \textsf{10,000} = \textsf{0.5 BTC} \end{align}
최종 체결가 기반 미실현손익 공식 - 롱 포지션
$$\small \textsf{미실현손익} = ({{\textsf{1} \over \textsf{평균 진입가격}} - {\textsf{1} \over \textsf{최종체결가}}}) \times \textsf{계약수량} $$
<예시>
데이비드는 10,000 계약을 BTC 가격이 5,000 USDT인 시점에 롱 포지션에 진입했습니다. 최종체결가는 BTC = 8,000 USDT입니다.
\begin{align}\scriptsize \textsf{미실현손익} = ({{\textsf{1} \over \textsf{5,000}} - {\textsf{1} \over \textsf{8,000}}}) \times \textsf{10,000} = \textsf{0.75 BTC} \end{align}
최종 체결가 기반 미실현손익 공식 - 숏 포지션
$$\small \textsf{미실현손익} = ({{\textsf{1} \over \textsf{최종체결가}} - {\textsf{1} \over \textsf{평균 진입가격}}}) \times \textsf{계약수량} $$
<예시>
데이비드는 10,000 계약을 BTC 가격이 5,000 USDT인 시점에 숏 포지션에 진입했습니다. 최종체결가는 BTC = 4,000 USDT입니다.
\begin{align} \scriptsize\textsf{미실현손익} = ({{\textsf{1} \over \textsf{4,000}} - {\textsf{1} \over \textsf{5,000}}}) \times \textsf{10,000} = \textsf{0.5 BTC} \end{align}
시장평균가 기반 미실현손익 공식 - 롱 포지션
$$\small \textsf{미실현손익} = ({{\textsf{1} \over \textsf{평균진입가격}} - {\textsf{1} \over \textsf{시장평균가}}}) \times \textsf{계약수량}$$
<예시>
데이비드는 10,000 계약을 BTC 가격이 5,000 USDT인 시점에 롱 포지션에 진입했습니다. 시장평균가는 BTC = 8,000 USDT입니다.
\begin{align} \scriptsize\textsf{미실현손익} = ({{\textsf{1} \over \textsf{5,000}} - {\textsf{1} \over \textsf{8,000}}}) \times \textsf{10,000} = \textsf{0.75 BTC} \end{align}
시장평균가 기반 미실현손익 공식 - 숏 포지션
$$\small \textsf{미실현손익} = ({{\textsf{1} \over \textsf{시장평균가}} - {\textsf{1} \over \textsf{평균 진입가격}}}) \times \textsf{계약수량}$$
<예시>
데이비드는 10,000 계약을 BTC 가격이 5,000 USDT인 시점에 숏 포지션에 진입했습니다. 시장평균가는 BTC = 4,000 USDT입니다.
\begin{align} \scriptsize \textsf{미실현손익} = ({{\textsf{1} \over \textsf{4,000}} - {\textsf{1} \over \textsf{5,000}}}) \times \textsf{10,000} = \textsf{0.5 BTC} \end{align}
댓글
댓글 0개
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.